설날

[설날 연휴 시작 전]

▶ 와우! 설날 연휴가 시작됩니다. 행복과 행운이 완전 넘쳐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추석

[추석 연휴 시작 전]

▶ 와우! 추석 연휴가 시직됩니다. 행복과 행운이 완전 넘쳐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추석 한가위가 찾아왔습니다. 풍요로운 행복과 넘치는 행운이 함께하는 명절 보내시기를 기원합니다. 


▶ 풍성한 한가위처럼 마음 또한 풍성하시기를 바라오며, 즐겁고 행복한 추석 보내시길 바랍니다.

▶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처럼 행복하고 웃음 가득한 추석 연휴 보내시기를 기원합니다. 

 

▶ 결실의 계절, 어느덧 우리 민족 대명절 추석이 찾아왔습니다. 늘 풍요와 성공의 기운이 함께하시길 빌겠습니다.

▶ 추석연휴 편안한 시간 되시고, 풍성하고 넉넉한 즐겁고 여유로운 추석연휴 되세요 ~!

▶  행복한 추석 올해에도 가족과 함께 즐거고 풍성한 한가위 되세요.

▶ 즐거운 명절 한가위를 맞이해, 댁내 가정에 웃음꽃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  이번 추석엔 사랑과 행복이 가득한 시간이 되길 바라며, 넉넉한 웃음으로 가족과 함께 화목한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 가족의 정을 느끼는 따뜻한 한가위 되시길 바라며, 보름달만큼 풍성한 행복 깃드시길 기원합니다.

▶ 풍요롭고 넉넉한 한가위 보내시고, 귀향길 귀성길 안전운전 하시면서 행복한 시간 보내고 오세요.

▶ 민족 최대의 명절 행복가득, 웃음가득, 가족친지들과 화목하고 즐거운 시간 보내시고, 기분좋게 귀성하시길 바랍니다.

▶ 고마운 분들께 감사의 마음 전하는 풍요로운 한가위 보내세요.

---------------

 

[추석 당일]

▶ 밝은 보름달처럼 행복한 추석 보내세요.


▶ 가득 차오른 보름달처럼 행복도 건강도 행운도 모두 차오르길 빕니다. 즐거운 추석연휴 보내세요.


▶ 어두운 하늘을 환하게 비추는 보름달처럼, 당신의 앞 길도 언제나 밝게 빛나길 기원합니다. 메리 추석~!
----------------

 

[추석 연휴 마무리]

▶ 추석 귀성길 안전 운전하시고 사랑하는 가족, 친지분들과 행복하고 웃음꽃 피는 추석 연휴 되세요.

▶ 즐거운 한가위입니다. 풍요롭고 가슴 벅찬 추석 되시길 바라며, 늘 댁내에 행복과 건강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 메시지 등과 함께]

▶ 풍요로운 한가위를 맞아, 그동안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잠시 여유와 함께 행복이 가득한 추석 연휴 되시길 바랍니다.

 

▶ 늘 곁에서 한결같은 성원 감사드리며, 더욱 풍성한 한가위 명절 되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항상 성원해주시고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풍성하고 알찬 추석 보내시고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 근심걱정 잠시 내려놓고, 사랑가득 넉넉한 마음으로 즐거운 추석 보내시길 바랍니다.

 

참고: https://www.ajunews.com/view/20180923152021685

 

 

 

반응형

 

한국표준산업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는 우리나라 '표준분류'(KSSC, Korean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중 하나이다. 

더보기

통계법 제22조(표준분류) ① 통계청장은 통계작성기관이 동일한 기준에 따라 통계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분류를 기준으로 산업, 직업, 질병·사인(死因) 등에 관한 표준분류를 작성·고시하여야 한다. 

아래와 같은 표준분류가 고시되어 있다. 

  •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제10차 개정
  •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제6차 개정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제7차 개정
  • 한국표준무역분류(KSTC): 제11차 개정
  • 한국표준 목적별 지출 분류(KCEAP)
  • 한국표준교육분류(KSCED)
  • 한국표준건강분류(KCF): 2018년부터 시행

이 가운데 소위 3대 표준분류(산업, 직업, 질병)는 5년마다 개정(산업 및 직업 분류는 끝자리 4, 9년에, 질병분류는 0, 5년에 개정 고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나무위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유엔(UN) 통계처가 권고한 국제표준산업분류에 근거하여 통계자료 정확성, 비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계작성 목적으로 작성·고시되었으며,[각주:1] 그 외 사업 인허가, 조세 및 자금지원 등 행정 및 산업정책 관련 법령에서 산업 영역을 규정하는 기준으로 준용되고 있습니다(약 110개의 법령, 시행령, 시행규칙, 2019년 기준).  

 

분류구조: 대분류를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중, 소, 세, 세세분류 단계 항목을 결정. 분류구조는 대분류(1자리, 영문대문자) 21개, 중분류(2자리 숫자) 77개, 소분류(3자리 숫자) 232개, 세분류(4자리 숫자) 495개, 세세분류(5자리 숫자) 1,196개로 총5단계로 구성.

 A 농업, 임업 및 어업
 B 광업
 C 제조업
 D 전기,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F 건설업
 G 도매 및 소매업
 H 운수 및 창고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J 정보통신업
 K 금융 및 보험업
 L 부동산업
 M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N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P 교육서비스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T 가구 내 고용활동, 자가소비 생산활동
 U 국제 및 외국기관

 

출처: 통계청 > 경제분류 > 한국표준산업분류(KISC)

 

 

 

 

 

  1. 한국표준산업분류는 1963년 3월 광업과 제조업 부문에 대한 산업분류를 제정하였고, 이듬해 4월 제조업 이외 부문에 대한 산업분류를 추가로 제정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표준산업분류 체계를 완성하였다. 이렇게 제정된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유엔의 국제표준산업분류(1차 개정 : 1958년)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이다. [본문으로]
반응형

AMI 정의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지능형검침인프라 또는 양방향 원격검침 시스템)는 전기, 수도, 가스와 같은 생활 에너지의 사용량 계측 및 수집된 데이터의 수집, 관리, 사용분석을 원격으로 처리하는 솔루션을 통칭합니다.

누리플렉스의 통신 SW 기반의 AMI 기술은 국내 전력 IT분야에 폭넓게 응용되고 있으며, 한국전력공사가 추진한 배전자동화 및 e-IoT의 통신 인프라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출처)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is an integrated system of smart meters, data management systems and communication networks that enabl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utilities and the customers. (From: Advances in Computers, 2021) (출처)

 

檢針

검침. 전기, 수도, 가스 따위의 사용량을 알기 위하여 계량기의 숫자를 검사함.

 

 

반응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표준산업분류.  (0) 2021.09.18
프롭테크. PropTech.  (0) 2021.09.06
[마케팅] 050 안심번호. 요금은?  (0) 2021.09.01

 

 

 

출처: 

https://driving-mileage.seoul.go.kr/home/main.do

 

 

반응형

1. PETER PIPER
Peter Piper picked a peck of pickled peppers;
A peck of pickled peppers Peter Piper picked;
If Peter Piper picked a peck of pickled peppers,
Where's the peck of pickled peppers Peter Piper picked?

 

 

출처: 

https://www.mentalfloss.com/article/513952/history-behind-famous-tongue-twisters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