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E 언어 전환 : Alt + Shift
전각 히라가나 입력 모드 : Ctrl + CapsLock
전각 카타가나 입력 모드 : Alt + CapsLock
전각 히라가나와 전각 알파벳 입력 모드 전환 : Shift + CapsLock
다이렉트 입력 모드 전환: Alt + ` (숫자1옆의 키)

KANA 모드 : Ctrl + Shift + CapsLock
CAPS 모드 : Alt + Shift + CapsLock

히라가나 입력 중 전각 카타카나로 변환 : F7
히라가나 입력 중 반각 카타카나로 변환 : F8
히라가나 입력 중 전각 알파벳으로 변환 : F9
1번 누르면 소문자, 2번 대문자, 3번 제일 앞만 대문자
히라가나 입력 중 반각 알파벳으로 변환 : F10
1번 누르면 소문자, 2번 대문자, 3번 제일 앞만 대문자
카타가나 입력 중 전각 히라가나로 변환 : F6
히라가나 입력 중 한자 변환 : Space
부수로 한자 찾기 : F5

 

출처: https://answers.microsoft.com/

 

 

 

반응형

'말·글·쓰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볼. 이모지. 스마일리.  (0) 2021.09.12
일본어. 음독. 훈독.  (0) 2021.09.05
경어법. (고마워요.)  (0) 2021.09.02

 

한자가 일본에 전파될 무렵에는 중국어의 발음도 동시에 전해졌다. 당시 일본인들은 현지 원음에 가깝게 발음하려고 애 썼을 것이며, 자연히 한자를 중국식 음으로 읽는 습관이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나라가 다르고 세월이 흐름에 따라 일본 나름의 언어 환경이 형성되면서 한자를 읽는 습관도 중국식 음독(音読)에서 일본식 음독으로 변해 가고 다양해졌다. 동시에 일본 특유의 전통적 토박이말을 한자로 읽는 훈독(訓読[새김/뜻/의미])이라는 습성이 생겨 난다.

 

음독(音.소리)과 훈독(訓.새김/뜻/의미)은 본래 중국의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나 중국 사람에게 한자를 써놓고 읽어보라 하면, 훈(훈독)[새김/뜻/의미]은 머리 속에 담아둔 채 음(음독)으로만 읽고 쓰고 기록한다.

 

그러나 일본 사람은 중국이나 한국처럼 훈(새김/뜻/의미)은 머릿속으로 생각하고 음만으로 읽거나 쓰지 않는다. 음(음독)과 훈(훈독) 이 두 가지를 필요에 따라 발음하고 기록한다. 예를 들면, 일본인이 ‘人’ 라는 한자를 ‘닝/징[nin/jin〕’이라고 발음하면 음이고,「히토〔hito〕」라고 말하면 훈(새김/뜻/의미)이라는 일본 고유어(토박이말)인 것이다. 이와 같이 일본은 한자에다 훈(새김/뜻/의미)을 부합시켜 직접 한자로 또는 일본문자 가나(仮名)로 읽고 쓰고 표현한다.

 

人 = じん = ひと

(어느 때는 음독, 어느 때는 훈독. 어렵다.)

 

몇 가지 예를 보자. 「人形」을 우리는 ‘인형’이라 발음한다. 이것을 일본인은 ‘닝교’라고 일본식 음(음독)으로 읽는다. 그리고 이 「人形」을 ‘히토가타’라는 훈독(새김/뜻/의미)의 일본 고유어(토박이말)로도 읽는다. 또「人跡」라는 한자어를 우리는‘인적’이라고 읽지만 일본인은‘징세키’라고 일본식으로 음독한다. 동시에 이것을‘히토아토’라는 훈독(새김/뜻/의미)의 일본 고유어(토박이말)로도 읽는다. 이 점이 음만을 쓰고 읽고 기록하는 한국과 중국과는 다른 점이라 하겠다. 

 

출처: http://www.gjdaily.net/news/articleView.html?idxno=9235

참고: https://m.blog.naver.com/etwas0227/60031996338

 

 

반응형

'말·글·쓰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 입력.  (0) 2021.09.05
경어법. (고마워요.)  (0) 2021.09.02
-할게요. (O) / -할께요. (X)  (0) 2021.08.13

해요체: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와 같이 굳어진 인사말이 있는 경우에는 윗사람에게 ‘고마워요’, ‘감사해요’라고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해요체는 깍듯이 존대해야 할 사람에게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쓸 수 없는 말이다. 

 

 

참고: 

https://m.blog.naver.com/tss52/221022866148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1060

여교수 이야기인데, 약간 수긍이 안 간다. 

 

 

(작성 중)

 

 

 

반응형

'말·글·쓰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 음독. 훈독.  (0) 2021.09.05
-할게요. (O) / -할께요. (X)  (0) 2021.08.13
운영 (運營) vs 운용 (運用)  (0) 2021.08.10

요약 발표, 요점 프레젠테이션 등의 표현일부 분야 사람들이 'pitch deck'이라 표현하기도 함. 

('Oxford English Dictionary'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은 표현임.)

 

함바집처럼 건설 현장에서 통용되던 용어가 사회 일반에서 널리 사용하게 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A pitch deck is a brief presentation, often created using PowerPoint, Keynote or Prezi, used to provide your audience with a quick overview of your business plan. You will usually use your pitch deck during face-to-face or online meetings with potential investors, customers, partners, and co-founders. 

 

https://pitchdeck.improvepresentation.com/what-is-a-pitch-deck

 

"Deck" is a commonly used anachronism to describe slide presentations in general, used especially commonly among consultants. So a "pitch deck" is synonymous with a "pitch presentation." The origin probably has to do with the thick stack of papers (or translucent slides) that would be the ultimate end product back before the days of PowerPoint.

My 2 cents is that the word stuck around for 2 reasons:

1) It's a great little word. Monsyllabic with a harsh consonant end to it. Much more satisfying than "presentation" or "PowerPoint."

2) It makes you sound more experienced. In the consulting industry, folks are hired straight out of college and are thrown directly into providing recommendations to CEOs. They're managed by partners, who learned the term back when presentations were truly "decks." The younger consultants pick up the terminology in an effort to emulate the partners and seem more like grizzled consultants who are in the know.

 

https://www.quora.com/Where-did-the-term-Pitch-Deck-come-from-Im-referring-to-this-from-a-start-up-perspective-I-get-the-pitch-part-but-what-is-the-origin-of-the-word-deck-here

 

pitch book (or pitch deck), also called a Confidential Information Memorandum, is a marketing presentation (information layout) used by investment banks, entrepreneurs, corporate finance firms, business brokers and other M&A intermediaries advising on the sale or disposal of the shares or assets of a business. It consists of a careful arrangement and analysis of the investment considerations of the client business and is presented to investors and potential investors with the intent of providing them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m to make a decision to buy or invest in the client business.

https://en.wikipedia.org/wiki/Pitch_book

반응형

2017. 11. 9. SBS NWES.

 

스마트폰 배달 앱에서는 버튼 하나로 음식점에 전화를 걸 수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원래 번호 대신 050으로 시작하는 번호가 음식점에 뜨게 됩니다. 일종의 안심번호입니다. 음식점과 손님 사이에 050 통신 사업자가 끼어 있는 구조인 건데, 문제는 소비자들도 모르는 사이에 이 서비스에 요금이 부과되고 있었다는 겁니다.

 

소비자는 기본 통화료 외에도, 안심번호 이용 접속료로 건당 13원을 부가서비스 이용 대금으로 휴대전화 요금에 포함해 냅니다. 포털사이트에서 식당이나 미용실 등을 검색하면 나오는 050 안심번호도 소비자가 접속료를 부담하긴 마찬가지입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77502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