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urb. 교외(郊外). / 도시(都市)의 주변(周邊) 지역. 도시(都市) 변두리(邊두리).

cf. 近郊 근교. 도시에 가까운 주변(周邊). / 외곽(外廓, 外郭): outskirts, suburb.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근교(近郊): 모도시(母都市)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교외지역. 교외지역. (링크)

 

[WIKI: Suburburban, metropolitan, central or inner city, annex, urban sprawl, municipality, borough, exurb, rural, neighborhood, transit.

 

A suburb (or suburban area or suburbia) is a commercial, mixed-use, or residential area. It can exist either as part of a city/urban area and can often have a large degree of employment. In some metropolitan areas, they exist as separate residential communities within commuting distance of a city.

 

Suburbs might have their own political or legal jurisdiction,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but this is not always the case, especially in the United Kingdom where most suburbs are located within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cities. In most English-speaking countries, suburban areas are defined in contrast to central or inner-city areas, but in Australian English and South African English, the suburb has become largely synonymous with what is called a "neighborhood" in other countries, and the term encompasses inner-city areas.

In some areas, such as Australia, India, China, New Zealand,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parts of the United States, new suburbs are routinely annexed by adjacent cities due to urban sprawl. In others, such as Morocco, France, and much of the United States, many suburbs remain separate municipalities or are governed locally as part of a larger metropolitan area such as a county, district, or borough

 

In the United States, regions beyond the suburbs are exurbs or "exurban areas", with less population density (but still more than rural areas) but linked to the metropolitan area economically, particularly by commuters.

Suburbs first emerged on a large scale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s a result of improved rail and road transport, which led to an increase in commuting. In general, they are less densely populated than inner-city neighborhoods within the same metropolitan area, and most residents routinely commute to city centers or business districts via private vehicles or public transits; however, there are many exceptions, including industrial suburbs, planned communities, and satellite cities. Suburbs tend to proliferate around cities that have an abundance of adjacent flat land. 

 


2014. 10. 6. Bloomberg CityLab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4-10-06/the-fading-distinction-between-city-and-suburb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영어로.  (0) 2023.04.10
at this time. at that time. at the time. back then. then.  (0) 2022.02.23
영어 발음의 기준.  (0) 2022.02.20


 

위 내용 출처는 아래 참고: 

https://workro.tistory.com/266

 

2021년 귀속 연말정산.

연말정산: 지난해 직장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면서 원천징수한 소득세 등을 정산하여, 부족하면 더 징수하고, 더 징수했으면 환급해 주는 절차로서, 올해 2월분 급여를 지급할 때 그 정산분을

workro.tistory.com


[반기별 납부 관련 참고.]

 

 

위 자료 출처는 '공부하는 세무사'

https://sootax.co.kr/4652

 

 

22.02. 

정확하게 어떤 기능, 작용인지 모르나, 여러 기기에서 동일한 계정을 사용할 때에는, 

특정 기기에서 모바일 알림 일시 중지를 사용해서는 안 될 것이라 생각한다. 

 

 

https://splashenglish.com/

 

“at that time” 를 쓰면 어색한 이유 - 그 때 를 영어로 - SplashEnglish

먼저 this time 와 that time 의 차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This 는 ‘여기, 이곳’에 있는 사물을 가리키는 말이고, that 는 보이는 거리에 있지만 조금 떨어져 있는 사물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마찬가

splashenglish.com

https://english.koreadaily.com/

 

'그때'는 영어로 'at that time?' - English

“그때 영어 공부하기로 결심했어.” “그때 휴대폰이 없어서 연락을 못했어.” 위의 문장들을 영어로는 어떻게 말할까요? 혹시 ‘그때’를 ‘at that time’이라고 번역하진 않았나요? 틀린 표현

english.koreadaily.com

 

Then meaning ‘at that time’ (https://dictionary.cambridge.org/)
We can use then to mean ‘at that time’, referring either to the past or the future

In this case, it is usually at the end of the clause:

A: When I was a child, I lived in Austria for a while.
B: What age were you then?

This time next week, I’ll be on a plane to Kiev. Where will you be then?

 

 

고용노동부는 임금 등 체불(滯拂)사업주 명단을 공개하고 있다. 

'사람인' 등 구인사이트에서는 체불사업주의 구인공고 등을 게시하지 않는다. 

 

https://www.moel.go.kr/info/defaulter/list.do

근로기준법

제43조의2(체불사업주 명단 공개) ① 고용노동부장관은 제36조, ... 따른 임금, 보상금, 수당, 그 밖의 모든 금품(이하 “임금등”이라 한다)을 지급하지 아니한 사업주(법인인 경우에는 그 대표자를 포함한다. 이하 “체불사업주”라 한다)가 명단 공개 기준일 이전 3년 이내 임금등을 체불하여 2회 이상 유죄가 확정된 자로서 명단 공개 기준일 이전 1년 이내 임금등의 체불총액이 3천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그 인적사항 등을 공개할 수 있다. ...
② 고용노동부장관은 ... 명단 공개를 할 경우에 체불사업주에게 3개월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소명 기회를 주어야 한다.
③ ... 고용노동부에 임금체불정보심의위원회(이하 이 조에서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
④ 제1항에 따른 명단 공개의 구체적인 내용, 기간 및 방법 등 명단 공개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2. 2. 1.]


체불 

滯拂

be in arrears, fall[get] into arrears
임금이 세 달이나 체불되어 있다
Payment of wages has been in arrears for three months. 

 

arrears

체납금(滯納金). rent/mortgage/tax arrears 밀린 집세/담보 대출 체납금/세금 체납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