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SSL(Secure Sockets Layer) 보안인증서 문제 때문에 발생. 

 

참고: https://zero-start.tistory.com/


net:: ERR_CERT_AUTHORITY_INVALID

 

(조류) chicken; (암탉) hen; (수탉) rooster, (Brit) cock. 

crow. : (특히 이른 새벽에) '꼬끼오'하고 울다. 수탉의 울음소리. 까마귀.

 

닭장 닭欌: chicken coop, hen house; (규모가 넓은 ) chicken run

coop: 명사 닭장, (짐승) 우리

 

 

「닭의 갈빗대」라는 뜻으로, 먹기에는 너무 양()이 적고 버리기에는 아까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편(便).

 

닭을 기르다
raise chickens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다
It's a chicken and egg problem.

닭이 먼저인가, 달걀이 먼저인가?
Which came first, the chicken or the egg?

 

닭똥 같은 눈물을 흘리다
shed large drops of tears

이 닭대가리야 그것도 모르니?
You bird-brain! You don't even know that?

그들은 서로 소 닭 보듯 한다
They ignore each other as if they were complete strangers.  


How do you tell the difference between a rooster and a hen?

How can I identify a rooster against a hen?

 

https://www.pinterest.co.kr/pin/461900505502924633/

서사 敍事 narration, description.

서사시(敍事詩)는 자연이나 사물의 창조, 신의 업적, 영웅의 전기 등을 주제로 하는 이야기 시이다. 서사시는 인류의 역사 속에서 존재한 거의 모든 문화에서 발견할 수 있다. (Epic poetry) 

 펼 서. 
先景後敍 선경후서 (→先景後事(선경후사))
敍情 ( 抒情 ) 서정. 사물(事物)을 보고 자기(自己)가 느낀 감정(感情)을 나타냄.


서술(敍述) description, depiction, narration. describe, depict, narrate.

「명사」 사건이나 생각 따위를 차례대로 말하거나 적음.

기술3(記述) [명사] (묘사) description, depiction, [동사] describe; (묘사하다) depict

「명사」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을 있는 그대로 열거하거나 기록하여 서술함. 또는 그런 기록.

진술 (陳述) statement; (증인의) testimony, deposition, make[issue, give] a statement, state, (formal) set forth; (법정에서) testify, depose

「명사」 「1」 일이나 상황에 대하여 자세하게 이야기함. 또는 그런 이야기.

「2」『법률』 민사 소송에서, 당사자가 법원에 대하여 구체적인 법률 상황이나 사실에 관한 지식을 보고하고 알리는 일. 또는 그런 소송 행위. 「3」『법률』 형사 소송에서, 당사자ㆍ증인ㆍ감정인이 관계 사항을 구술 또는 서면으로 알리는 일. ≒공술.

설화 (說話) tale, (우화) fable.

「1」 있지 아니한 일에 대하여 사실처럼 재미있게 말함. 또는 그런 이야기.
「2」 『문학』 각 민족 사이에 전승되어 오는 신화, 전설, 민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일용직 근로자란? 일용직 근로자의 판단?

 

세법상 일용직근로자는 건설공사에서 1년 미만으로 근무하거나 고용주에게 3월 이상 고용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일용직인지 여부는 회사 경리부에 확인하면 바로 알 수 있고, 보수를 받을 때 3.3%을 떼이고 받으며 사업소득자이고, 보수를 받을 때 4.4%를 떼이고 받으면 기타소득자로 보면 된다.

일용직근로자는 일당으로 세금을 계산하고, 일용직근로자는 일당에서 10만원을 뺀 금액(근로소득금액)에 6%의 세율을 곱하고 다시 55%를 세액공제한 금액을 원천징수하여 연말정산 없이 세금징수를 종결합니다.

따라서 일용직근로자는 의료비, 교육비, 신용카드공제 등 소득공제는 받을 수 없지만 일반근로자 보다 세금을 많이 내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일용직근로자는 세금을 거의 내지 않아 연말정산을 하는 일반 근로자보다 세금을 적게 내어 유리하다고 보면 됩니다.

* 일용직근로자 세금계산 사례
- 일당 150,000인 경우 세금은 1,350원 = [(150,000-100,000)×6%]×45%
일당 137,000원까지는 세금을 내지 않음
[(137,000-100,000)×6%]×45%=999원(소액부징수, 1,000원 미만은 소득세 징수 않음)


● 일용직 근로자는 연말정산을 어떻게 하나?

일용직 근로자는 연말정산에 해당이 없다.

일용직 근로소득은 연말정산을 하지 않고,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로 납세의무가 종결되는 분리과세소득이다.

일용근로자는 연말정산을 하지 않아 의료비, 교육비, 신용카드공제 등 소득공제가 안된다. 일용직 근로자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어 일반근로자보다 불리한 것처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일용직근로자는 세금을 거의 내지 않아 연말정산을 하는 일반 근로자보다 세금을 적게 내어 유리하다고 보면 된다.

 

출처: 한국납세자연맹 https://www.koreatax.org/

 

▶ 원천세 반기별 납부 사업자는 상반기는 7월 10일까지, 하반기는 다음 연도 1월 10일까지 신고·납부. 

 

대상자는 상시고용인원의 평균인원수가 20인 이하인 경우임. 

 

국세청 자료 (2020년 원천세 신고 안내) (링크)

2020년원천세신고안내.RS.pdf
4.65MB


https://www.youtube.com/watch?v=Bh1sdlLroW8 

 

아래는 '조세일보'에 게시된 '국세청' 자료임. (링크)

반기별 납부 사업자의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방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