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하신 '대하여'와 '대해서(본말: 대하여서)'는 어미 '-여'와 '-여서'가 붙은 형태 차이만 있고 의미 차이는 없습니다. 따라서 둘 다 문법상 맞고, 어느 것으로든 쓰실 수 있습니다. 다만, 아래에 보인 '대하다' 문법 정보에서 '대하여' 꼴로 쓰인다는 것을 대표로 제시한 점은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대-하다 「004」「동사」【…에】 ((‘대한’, ‘대하여’ 꼴로 쓰여))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출처: https://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8103&pageIndex=1 

 

 

반응형

'말·글·쓰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몇십 년(O). 몇 십 년(O)  (0) 2022.12.08
봐 봐 (O) / 봐봐 (△)  (1) 2022.11.17
간곡히 바랍니다. / 간절히 희망합니다.  (0) 2022.11.09

Look at that. 

Check it out. 

 

[국립국어원] 

'봐 봐'로 띄어 씀이 원칙이며 '봐봐'로 붙여 씀을 허용합니다

말씀하신 구성은 '보다'에 보조 용언 '보다'가 '-어 보다'의 형태로 다시 결합한 구성입니다. 따라서 '봐 봐'로 띄어 씀이 원칙입니다. 한편 한글 맞춤법 제47항에 따라 어미 '-어' 뒤에 결합한 보조 용언은 붙여 씀을 허용하므로, '봐봐'로 붙여 씀을 허용한다 하겠습니다. 

 

출처: https://www.korean.go.kr

 

 

 

 

반응형

 

다른 사람에게 온 정성을 다 기울여서 뭔가를 부탁하는 것을 표현할 때 ‘간절히 부탁하다’ 또는 ‘간곡히 부탁하다’와 같이 말할 수 있을 겁니다.

이 두 표현의 사전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간절(懇切)하다’는 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하다는 뜻이고, ‘간곡(懇曲)하다’는 태도나 자세 같은 것이 간절하고 정성스럽다는 뜻입니다.

사전적인 의미만을 보면 ‘간절하다’와 ‘간곡하다’의 뜻이 비슷해서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이런 경우에는 각각 어떤 표현들과 함께 쓸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간절히’는 ‘소망하다, 바라다, 원하다, 부탁하다, 바라다, 기도하다’와 같은 동사와 연결해서 주로 쓰이고, ‘간곡히’는 ‘부탁하다, 타이르다, 말리다, 권유하다, 만류하다’와 같은 동사와 잘 어울립니다.

‘간곡’이라는 말은 간절하고 정성스러운 것이 겉으로 드러나는 태도나 자세에 초점이 있다면,

 

‘간절’이라는 말은 마음 씀씀이나 정성에 초점이 있어서 마음속으로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한 것을 표현할 때 더 적절한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learnkorean&id=&board_seq=229023&page=255&board_code=net_lang 

 

 

반응형

 

각종 공문서 등에서 여러 가지 문서가 포함된 제출 서류 일체 또는 구매‧제공하는 물품이나 용역 일체를 가리킬 때 사용되는 '1식'과 같은 형태를 문의하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는 ‘그릇, 가구 따위의 한 벌 또는 그 전부’를 뜻하는 사전 표제어 ‘일식(一式)’과 관계있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출처:  https://korean.go.kr

 

반응형

 

질의하신 문장의 경우 ‘띄어 쓰다'와 '띄워 쓰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korean.go.kr

Write with spacing.

 

띄다. 

'뜨이다'의 준말. open, wake (up), awake. / visible, lie open, stick out, prominent, noticeable.

'띄우다'의 준말. flay. launch. set sth afloat.

 

띄우다 
1. 동사 물 위나 공중에 있게 하거나 위쪽으로 솟아오르게 하다. ‘뜨다’의 사동사.
2. 동사 (비유적으로) 차분하지 못하고 어수선하게 들떠 가라앉지 않게 하다. ‘뜨다’의 사동사.
3. 동사 빌려준 것을 돌려받지 못하게 되다. ‘뜨다’의 사동사.

반응형

'말·글·쓰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식(一式). 1식. 일 식.  (0) 2022.11.07
증인 유도 신문. / 당사자 심문.  (0) 2022.10.22
받은 (과거), 받는 (현재)  (0) 2022.10.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