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삼국지≫의 <마속전(馬謖傳)>에 나오는 말로, 중국 촉나라 제갈량이 군령을 어기어 가정(街亭) 싸움에서 패한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형에 처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馬謖 마속

중국(中國) 삼국(三國) 시대(時代) 촉한(蜀漢)의 장수(將帥). 자는 유상(幼常). 재주가 뛰어나고, 병략(兵略)에 밝아 제갈량(諸葛亮)의 중명(重命)을 받고 일군(一軍)의 통수(統帥)가 되었음. 촉한의 요지(要地) 가정(街亭)의 싸움에서 위(魏)나라 장수(將帥) 장합(張郃)에게 크게 패하여, 중원(中原) 공략(攻略)의 웅대(雄大)한 계획(計劃)도 허사로 돌아가매, 제갈량(諸葛亮)은 그를 애석(哀惜)히 여겼으나(눈물을 흘리며) 목을 베었음. (위키)

 

Ma Su (190–228), courtesy name Youchang, was a military general and strategist of the state of Shu Han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China. Ma Su had conspicuous talent in military theories and was admired by the Shu chancellor Zhuge Liang. However, a tactical blunder by Ma Su at the Battle of Jieting resulted in Shu being dealt a huge defeat by Zhang He, a general of the rival state of Wei. He was a younger brother of Ma Liang.

Much dramatisation shrouds the death of Ma Su. According to his biography in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long with Pei Songzhi Annotations to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Xi Zuochi's comment, Ma Su was executed on Zhuge Liang's order. Most of the cultural's depictions follow this version such as the historical novel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s well as the Peking opera Loss of Jieting However, in the biography of Ma Su's close friend Xiang Lang, Ma Su was said to actually attempt to escape after his defeat at Jieting, but was captured, and he may have eventually died of illness in prison before the ordered execution could be carried out. (WIKI)

 

 

마속 馬謖 Ma Su (출처: WKI)

반응형

 

도저히 떠오르지 않아 국립국어원에 문의했다. 

 

[답변]

안녕하십니까?
표준국어대사전과 우리말샘에 '진입'의 반의어가 등재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안내가 어렵습니다

표현을 만들어 안내해 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문을 해 주셨으나 답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원뜻(元뜻)으로 쓰일 때]

진입의 반대말은 퇴출, 입장의 반대말은 퇴장, 입주의 반대말은 퇴거라는 의견은 '우주 벌레' 블로그 참고.

 

예: 터널 '진입' 시 차로와 터널 '퇴출' 시 차로는 같아야 한다.

 

어색하다.

 

'진입'의 반대 의미로 '퇴출'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터널에 '들어갈 때' 차로와 터널에서 '나올 때' 차로는 같아야 한다

 

이와 같이 쓰는 게 나은 것 같다. 

 

결국 반대 의미의 대구(對句)에서는 진입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 게 좋겠다

 

(참고로, 잠입(潛入), 침입(侵入)의 경우도 '진입'과 마찬가지로 반대말을 찾기 쉽지 않다.)

 

 

['진입'을 응용하여 사용 시에는 그 응용된 의미를 파악해서 반대말을 사용할 수 있다.]

 

예: 새로운 절차 '진입' 시 유의할 점은 절차 '마무리' 시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맥질하다. 

물속에서 팔다리를 놀리며 떴다 잠겼다 하다. = 무자맥질하다.

 


 

반응형

'말·글·쓰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읍참마목. 泣斬馬謖.  (0) 2021.05.14
태산명동서일필 (泰山鳴動鼠一匹)  (0) 2021.03.06
Genom. 게놈 (O). 지놈 (X).  (0) 2021.02.24

 

泰 클 태

山 메 산

鳴 울 명

動 움직일 동

鼠 쥐 서

一 한 일

匹 짝 필, 집오리 목, 비유할 비

 

 

태산(泰山)이 떠나갈 듯이 요동하게 하더니 뛰어나온 것은 쥐 한 마리 뿐이었다는 뜻으로,예고(豫告)만 떠들썩하고, 실제(實際)의 그 결과(結果)는 보잘것없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출처)

반응형

'Genom'은 '게놈'으로 적어야 합니다. 

 

'Genom'은 '유전자'를 뜻하는 'gen'과 '염색체'를 뜻하는 'chromosom'의 일부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로, '낱낱의 생물체가 가진 한 쌍의 염색체'를 뜻하는 말입니다. 

 

이 용어는 1920년 독일의 식물학자 빙클러(Winkler)가 처음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런 까닭에 우리나라에서는 독일어 발음대로 '게놈'으로 적어 왔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미국에서 인간의 유전적 정보 해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영어식 발음인 '지놈'으로 적어야 한다는 견해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미국에서 연구가 활발하다고 해서 널리 쓰이고 있는 말을 굳이 영어식으로 바꿔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해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제33차 회의, 2000. 5. 30.)'에서는 'Genom'이 원래 독일어이고 오래전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게놈'으로 정착된 점을 감안하여 '게놈'으로 적을 것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출처: ko.dict.naver.com/?m=mobile#/correct/korean/info?seq=44

반응형

 

'숍'이 맞습니다. 

거리를 지나다 보면 '커피숖', '슈퍼마켙'과 같은 간판을 어렵지 않게 찾아낼 수 있는데 이는 잘못된 표기입니다.

 

《외래어 표기법》제1 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3 항에서는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 만을 쓴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ㄷ,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은 받침으로 쓰지 않습니다. 

 

shop에서 온 말의 경우, 뒤에 아무 말도 오지 않을 때는 [숍]으로 발음 나기 때문에 '숍'으로 쓸 수도 있고 '숖'으로 쓸 수도 있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은', '-이', '-을', '-에', '-에서'와 같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가 결합할 때 [쇼픈], [쇼피], [쇼플], [쇼페], [쇼페서]라고 발음하는 경우에만 기본 형태를 밝혀 적도록 규정하고 있어 '숖'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쇼븐], [쇼비], [쇼블], [쇼베], [쇼베서]라고 발음하므로 '숍'이라고 쓰는 것이 옳습니다. 

 

 

마찬가지로 diskette, type과 같은 말도 원어의 철자 t, p에 영향을 받아서 '디스켙, 타잎'으로 표기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역시 잘못된 것입니다. '디스켓, 타입'이 바른 표기입니다.

 

외래어의 경우에 'ㄷ' 받침이 사용되지 않는 것은 외래어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가 결합될 때에는 어말 자음이 'ㅅ'으로 변동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out, racket, jacket, biscuit, socket과 같은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에 [아욷], [라켇], [재킫], [비스킫], [소켇]으로 발음됨에도 불구하고 '아웃', '라켓','재킷', '비스킷', '소켓'으로 적는 것입니다.

 

출처: ko.dict.naver.com/?m=mobile#/correct/korean/info?seq=43

 

네이버 국어사전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ko.dict.naver.com

 

반응형

+ Recent posts